티스토리 뷰
#1. 구구단 게임
[코드 구현 과정]
처음 결과값을 만들기 위해 알고리즘을 구상할 때 구구단을 만드려면 for문 3개가 중첩되어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다.
그 다음 Tab과 Enter가 필요한 위치를 살펴보고 \t 와 \n이 어느 시점에 들어가야 할지 분석했다.
3단, 6단, 9단에서 행과 행을 구분하는 Enter가 있어야 하므로 if문으로 특정 단에서 Enter가 적용될 수 있도록 구현했다.
for문 3개를 중첩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연결해야 위의 모습처럼 나오게 되는지 고민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다.
처음에는 변수 i, j, k를 모두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계속 시도해 보았는데 잘 되지 않았다.
k를 i에 종속적인 변수로 설정해 줌으로써 1, 2, 3단과 4, 5, 6단, 그리고 7, 8, 9단이 깔끔하게 분리되어 나타났다.
#2. 가위바위보 게임
[코드 구현 과정]
가위바위보 게임을 하려면 처음 입력 값이 무조건 0, 1, 2 중 하나여야 한다.
제대로 된 입력값에 대해서만 실행될 수 있도록 while문을 이용하여 0, 1, 2가 아닌 다른 수를 입력했을 때 재입력을 하도록 설계했다.
컴퓨터도 난수를 발생시켜 0, 1, 2 중 1개의 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난수 생성함수 rand()를 이용했다.
사람과 컴퓨터 각각의 입력값을 비교하여 승패를 결정할 수 있도록 if문을 써서 이긴 경우, 비긴 경우, 진 경우를 분리했다.
printf()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도출했다.
* 본 게시물에 Visual Studio Code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c언어
- History 객체
- int
- long
- Navigator 객체
- 자료형
- keyword
- 키워드
- location 객체
- short
- bom
- stdio.h
- window 객체
- 컴파일
- gcc
- Char
- 리액트 #React #props #state #javascript
- DOM
- Document Object Model
- Browser Object Model
- 변수
- Screen 객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