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1. 요청 시 Body 데이터타입이 string인 경우

2. 요청 시 Body 데이터타입이 JSON인 경우


 

[그림 1] POST 메소드 사용 예시

 

웹에서 POST로 요청할 때에는 데이터를 Body에 담아서 보낸다. 이때 Body에 담기는 데이터의 데이터타입에 따라 Node.js에서 작성해주는 body-parser 내용에 차이가 있다.

 

 

1. 요청 시 Body 데이터타입이 string인 경우

요청(Request) 시 Body에 string 값이 담기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Node.js에 써주면 된다.

 

$ app.use(express.urlencoded({extended:true}));

 

이때 요청 헤더에는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' 라고 나타난다.

 

 

2. 요청 시 Body 데이터타입이 JSON인 경우

요청 시 Body에 JSON 값이 담기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Node.js에 쓰면 된다.

 

$ app.use(express.json());

 

이때 요청 헤더에는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json' 로 나타난다.

 

[그림 2] Body의 string 값을 JSON 값으로 바꿔주기

text라는 변수를 선언하여 req.body의 값을 JSON 문자열로 변환하도록 했다.

JSON.stringify() 메소드는 JavaScript 값이나 객체를 JSON 문자열로 변환한다.

 

node server.js로 서버를 키고 POST 요청을 보내면, 위 그림과 같이 hello 뒤에 JSON 문자열이 나온다.

 

왼쪽 창에는 req.headers에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'라고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.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«   2024/11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글 보관함